대체의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위장에 습기가 많아서 소화가 안 될 때 위장에 습기가 많아서 소화가 안 될 때 사용하면 좋은 평위산 숙식을 소화하기 힘들고 위장에 水濕 痰飮 등이 몰려 있어 즉 위내정수로 인하여 소화하기 힘든 분들은 자각증상으로는 소화장애 식욕부진 심하비색 식후의 복명 설사 등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런 분들은 위장에 습기를 제거하면서 소화가 잘 되게 하는 평위산을 소개합니다 창출 ----습기를 제거하고 蒼朮甘溫能發汗(창출감온능발한) 除濕寬中瘴可捍(제습관중장가한) 창출은 감온하다 땀을 잘 내고 제습하고 속을 편하게 하고 장기(瘴氣)를 막을 수 있다 ※장기--축축하고 더운 땅에서 생기는 독기(毒氣) 후박--- 습사를 없애고 소적 적취를 없앤다 중초의 습체(중초,비위장에 습이 정체된 것)에좋음 진피--- 오래된 것이 좋은 진피는 기가 뭉친 것을 풀어주며 비장의 기.. 더보기 간이 안 좋을 때 증상과 좋은 약재 간이 안 좋을 때 증상과 좋은 약재 간이 안 좋을 때 증상 사기가 간에 있으면 양쪽 옆구리가 통증이 있고 속이 차고 역할이 속에 머물게 된다 간장병의 환자는 양쪽 갈비 밑이 아프고 소복(아랫배)이 당기며 화를 잘 낸다 간에 열이 있으면 얼굴빛이 푸르고 손톱이 마르게 된다 겉 증세는 깨끗한 것을 좋아하고 얼굴빛이 푸르며 화를 잘 내고 속 증세는 배꼽의 왼쪽에 동기(動氣)가 있어서 만지면 딱딱하고 아프며 그 증세는 사지(四肢)가 만폐(滿閉)하고 소 변이 방울방울 떨어지고 배뇨가 시원스럽지 못하고 변비도 있으며 힘줄이 좋지 못하다 뼈가 마르고 살이 많이 빠지며 가슴속이 기만하고 뱃속이 아프고 심중이 불안하고 어깨와 목 등 전신에 열이 있고 대퇴가 부서지며 살이 빠지면 눈두덩이 꺼진다 간장병의 허실일 경우 간장.. 더보기 간에 열이 있을때 청피 간에 열이 있을 때 청피 간장의 병증 양쪽 협(脇:옆구리)에 통증이 있고 악혈(惡血) 속에 머물게 된다 양쪽 갈비밑이 아프고 (그림에서 2번 부위) 소복(아랫배) 그림에서 4번 부위가 당기며 화를 잘 낸다--간에 열이 있는 경우 약의 오색(5 가지 색)이 맡은 일 청색의 약은 목(간과 담)에 속하여 간과 담에 작용한다 오미 중에 신맛은 간의 본연의 맛이니 간 기능이 좋지 않을 때(간이 허할 때)는 신맛이 나는 음식을 좋아한다 청피(靑皮) 苦寒攻氣滯(청피고한공기체) 平肝安脾下食劑(평간안비하식제) 먹는 방법 더보기 이전 1 ··· 11 12 13 14 15 16 17 ··· 25 다음